4월, 2002의 게시물 표시

영화 '집으로...'(The Way Home, 2002) 할머니와 빨간스웨터

이미지
“사랑한다”는 말이 배고프다는 말 만큼 흔해진 시대가 됐지만 영화 ‘집으로…’ 에서는 ‘사랑’이라는 말이 단 한마디도 나오지 않습니다. 주인공 역시 사랑을 얘기하기엔 어울리지 않을 듯한 할머니와 손자... 서울에서 온 일곱살짜리 손자 상우와 산속 시골에 사는 일흔 일곱살의 외할머니가 주인공이니까요. 심지어 할머니는 말을 못하는 ‘벙어리’입니다. 하지만 ‘집으로…’ 는 ‘사랑한다’ 는 말을 입밖에 내지 않고도, 마음 한구석을 일렁이게 하는 깊고 조용한 사랑을 보여줍니다. 상우의 외할머니는 우리네 할머니들이 다 그렇듯 ‘사랑한다’는 말을 ‘미안하다’고 합니다. 말 못하는 상우 할머니에게는 ‘미안하다’가 가슴 언저리를 문지르는 것이고요. 철없는 상우가 “게임기 배터리 사게 돈 줘!”하고 떼를 쓸 때도, 닭백숙을 걷어차며 “누가 물에 빠뜨린 닭 달랬어?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달란 말야!”하며 울 때도, 할머니는 가슴을 문지르기만 합니다. 엄마가 외할머니에게 잠시 맡긴 상우는 '도시’를 상징하지요. 상우는 할머니가 손으로 찢어주는 배추 김치 대신 스팸만 먹고, 물 대신 콜라를 마십니다. 반면 외할머니는 ‘자연’을 나타내지요. 한데, 왜 친할머니가 아닌 외할머니일까요? 같은 할머니지만, 아마 ‘아빠의 엄마’인 친할머니에게서 왠지 당당함을 엿볼 수 있다면, ‘엄마의 엄마’인 외할머니에게서는 겸손하면서도 꿋꿋함이 느껴지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도시 문명을 끌어안는 대자연의 힘처럼, 모든 것을 포용하는 무조건적인 사랑을 그리고자한 이정향 감독이 외할머니를 택한 것은 자연스러운 선택이겠지요. ‘집으로…’는 그동안 잊고 지낸 소중한 사실들을 새삼 일깨워줍니다. 시골 변소가 무서운 어린 손자를 위해 요강 속까지 닦는 외할머니의 거칠고 마디 굵은 손이 얼마나 곱고 아름다울 수 있는지도요. 영화를 보면서 이런 말을 할 수도 있겠지요. “비현실적이야.요즘 저런 할머니가 어딨어.” “자